김보안의 블로깅
  • 🏠 Home
  • 📚 Project
    • Blockchain
      • 🎦 PickMe
      • 🎦 IoTC
      • 🎦 Blackchain
      • 📃 Gemology
      • 🎦 PickMe
      • 🎦 PickMe
    • AI
      • 👋 A.I. Dream Reader
      • 🎦 A.I. Dream Reader
    • Security
      • 🎦 SNAC
    • Education
      • 🎦 Smart Lecture
  • 🤸‍♂ Hobby
    • Music
      • Violin
      • Guitar
      • Piano
      • Drum
    • Flower
      • Flower Certificate
    • Sport
      • Ski
      • Skateboard
      • Golf
      • Boxing

2023년 1월 4일 수요일

[NFT 동향] 중국의 NFT 거래소와 미르의 전설2

 SecureKim     오후 10:07     NFT, NFT시장, NFT조사     No comments   


중국 국영 디지털 자산 거래소 23년 1월 1일 출범

참고로 중국인민은행은 2021년에 

거의 모든 가상화폐 관련 활동(거래 및 채굴)이 불법이라고 선언한 바 있음.

!?!

그래서 이것은 암호화폐에 대해 엄격한 제제를 가하는 모습과 정반대임.


다만 중국에 NFT 마켓이 없었던 것은 아님.

하지만 암호화폐 거래가 불법이기 때문에

중국에서 NFT 거래는 암호화폐와 분리되어 있음. 


지불 처리를 위해 은행 카드, Alipay 및 WeChat Pay와 같은 기존 방식으로 거래 해야 함.


미르의 전설2

오늘 (23/1/4) 중국과 손 잡고 NFT를 판다고 언론 보도.

참고로 미르의 전설2는 2001년 중국 진출 후 삼국지, 서유기에 버금가는 3대 경전으로 꼽힐 정도로 현지에서 큰 사랑을 받은 위메이드의 대표 IP임. 

위메이드는 미르의 전설2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NFT 상품을 제작하고, 

중국문화미디어 신문창 NFT 플랫폼에서 판매할 계획




Read More
  • Share This:  
  •  Facebook
  •  Twitter
  •  Stumble
  •  Digg

2022년 12월 7일 수요일

[최신 NFT 투자 동향 분석] RTFKT - CLONE X (아티팩트 클론 X)

 SecureKim     오후 11:30     동향, 아티팩트, 클론X, 투자, CloneX, NFT, NFT시장, NFT조사, RTFKT     No comments   

 

오늘도 오픈씨 랭킹을 살펴보자


최근 30일 기준 TOP 5

역시1위는 크립토 펑크 (썩은물)

2~4위는 원숭이 (고인물) 가 차지하고 있다.


5위 CLONE X 를 살펴보자.

우선 TAKASHI MURAKAMI, 낮익은 이름이다.

일본의 앤디 워홀이라고 불리는 무라카미 타카시의 작품

어디서 많이 본 이 해바라기(카이카이 키키 - Kaikai Kiki)를 그린 현대미술가로, 

루이비통의 해바라기 키링 같은 것들이 이 분 작품인듯 하다.


Clone X는 이 무라카미 타카시와 RTFKT (아티팩트) 의 콜라보로, 

아티팩트는 가상 스니커즈 NFT를 만들어 팔다가

결국 2021년 12월 13일 나이키에 인수된, 성공한 NFT 스타트업이다.


어제 (12/6) 발표한 최초의 M2E가 가능한 실사 운동화. 퍼블릭 민팅은 14일부터.


무라카미 타카시는 CloneX 캐릭터 디자인에 전적으로 참여하였다고 밝혔는데, 

눈, 입, 헬멧, 옷 등 아바타 특성을 디자인하는 데 기여했다고 한다.


특히 CloneX 중 무라카미 타카시 작품세계의 특성이 들어간

클론은 더 높은 가치로 거래되고 있다.

해바라기를 좋아하는 무라카미 타카시

RTFKT 팀은 초반에 생태계에 진입한 사람들에게 지속적으로 에어드랍을 하고 있는데,

최초 NFT인 Meta pigeon 홀더들에게 CloneX 3개씩 에어드랍 했고,

CloneX를 보유한 홀더들에게 Space pod, MNLTH를 에어드랍 했으며,

또 그 홀더들에게 각각 Loot pod과 MNLTH2를 에어드랍 했다. 


여기서 pod 은 아래처럼 생긴 메타버스 공간으로, 자유롭게 꾸밀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Loot Pod. 본인이 수집한 NFT를 배치 할 수 있고, 음악, 3D도 지원한다.


MNLTH는 아래처럼 생긴 박스이다.

올해 4월 리빌 결과 나이키 운동화 NFT가 들어 있었다.


최초 NFT 1개로부터 에어드랍된 NFT들의 가치를 모두 합치면 억단위로,

지속적인 에어드랍 (폰지사기)으로 많은 홀더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이후에도 클론 X는 홀더들에게 본인의 DNA 별로 

의류 NFT를 민팅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였고,  

이 의류 NFT 소유자에게 실물 의류를 받아볼 수 있는 Forging 서비스도 제공한다.


클론들을 가지고 의류 룩북도 만들었다.

룩북 확인은 : https://lookbook.rtfkt.com/

앞으로도 행보가 기대되는 팀이다.



Read More
  • Share This:  
  •  Facebook
  •  Twitter
  •  Stumble
  •  Digg

2022년 11월 23일 수요일

[NFT 동향 분석] 메타젤리스

 SecureKim     오후 11:30     Blockchain, Klaytn, Market, metazellys, NFT     No comments   



현재 클레이튼 기준 오픈씨 1일, 7일, 30일 기준 계속 1위 중


대표자는 조현진님으로, 삼성 물산 출신이고 포블게이트 공동 대표인것으로 보인다. 

(그러고보니 포블게이트 이철이 대표님과는 블록체인 교육쪽으로 인연이 있다.)


특징 : 2차 창작 가능 라이센싱 가능

올 7월에 이더리움으로 옮긴다는 투표가 찬성으로 마무리 되었는데, 

찾아보니 실제로 이더 진영에도 있었다.


혜택 : 테슬라 등 전기자동차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 제공

국내 유명 호텔 숙박, 항공권 제공

아트살롱, 갤러리 투어, 한정판 미술품 구입, 프라이빗 아트클래스 연계




이벤트 : 소비자들이 더하나에서 플라스틱 박스를 구매하면 

10종의 젤리 띠부씰 또는 더하나 왕 띠부씰이 제공되는데, 

10개 모아오는 선착순 10명한테 명품을 제공한다고 했다.

근데 이상하게도 시작한지 2개월이 넘게 지난 지금까지도

언제 시작했는지 어떤 명품인지 언제 주는건지 주긴 한건지 정보가 전혀 없었다ㅋㅋ  

지금까지도 별 5개 짜리 후기 딱 10개만 있고 아무런 문의도 없다.

이게 무슨 의미고 대체 누가 뭘 받아간걸까?ㅋㅋㅋ 난 잘 모르겠다ㅋㅋ


텍사스 홀덤펍 같은 다른 플랫폼이랑도 활발하게 연계하고 있다



Read More
  • Share This:  
  •  Facebook
  •  Twitter
  •  Stumble
  •  Digg

2022년 11월 9일 수요일

[최신 NFT 투자 동향 분석] Art Gobblers - 아트고블러 NFT 분석

 SecureKim     오후 11:30     Art gobbler, Ethereum, NFT     No comments   


오픈씨 최근 30일 기준으로 1~5위는 고인물이 된 크립토펑크와 원숭이들인데

그 와중에 무려 2위를 하고 있는 새로운 NFT가 생겨서 분석해 보았다.


얘네는 뭔데 2위를 하고 있을까..?


그림체나 느낌, 로드맵이 없다는 점은 이전에 소개했던 고블린 타운과 비슷하지만, 

유명 애니메이션 릭앤모티 공동 제작자 저스틴 로일랜드와 

암호화폐 투자회사 패러다임이 공동 디자인한 NFT 컬렉션이라는 점에서 

근본은 있다고 할 수 있다.


블록체인은 이더리움이며, 현재 38%의 Unique Owner를 보유하고 있는데,

썩은 물인 CryptoPunks가 현재 36% 고인물 원숭이가 64%임을 고려 했을 때 

높은 수치의 Unique Owner가 아니라서 투자하기에는 살짝 경계 해 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

Generative NFT가 아무리 그림 영향을 안 받는다곤 하지만...
이런 그림체는 개인적으로 불호이다


뭐 어떤건지 자세히 알고 싶어서 홈페이지(https://artgobblers.com)에 방문 해 보았는데, 

해킹을 당한건지 뭔지 자동으로 유해 사이트라고 차단 되었다.

해킹 당한건가?


그래도 호기심이 먼저라서 한번 들어가서 시스템을 살펴 보았는데, 깜짝 놀라게 되었다.

왜냐하면 이것은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이었기 때문이다. 


일단 시스템을 설명하면, 초기에 2000개의 아트고블러가 민팅되고 

10년에 걸쳐서 8000개의 아트고블러가 자동으로 민팅된다.



아트고블러는 페이지를 빈 민팅하고, 

사람들이 그림을 올려서 판매할 수 있도록 장을 열었다.


민팅된 빈 페이지와 빈페이지에 누군가 그려넣은 작품들


아래처럼 누구나 그림을 그릴 수 있고, 고블러는 이 그림을 먹는다는 설정이다.

아직 그림을 먹은 고블러는 보이지 않지만, 추후 먹게 될 것이고 

아마도 멋진 그림을 먹은 고블러는 더 비싸게 판매될 것으로 보인다.

https://artgobblers.com/drawing/H825CQI


다른 사람의 그림을 재생 해 볼 수도 있다.

Goo 라는 ERC20 토큰을 얻어서 고블러를 사거나 할 수도 있을것 같은데 아직 명확한 소비처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레전더리 고블러라는 개념이 있는데, 처음에 69마리를 희생하면 얻을 수 있고

이 합성 비용은 Dutch Auction 방식을 통해 점차 낮아진다고 한다.

오랜만에 여러모로 기대해 볼 만한 NFT가 나온 것 같다.
  


















Read More
  • Share This:  
  •  Facebook
  •  Twitter
  •  Stumble
  •  Digg

Ethereum ENS 에 대해서

 SecureKim     오후 11:00     Blockchain, ENS     No comments   

 

오늘은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복잡한 이더리움 주소를 간편하게 바꿔주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카리나라는 사람이 자신의 이름으로 된 ens NFT를 구매하는 것을 가정해보자.



NFT 구매 후 카리나는 자신의 이더리움 주소를 karina.eth에 연결할 수 있고,

연결되면 다음과 같이 다른 사람 지갑에서도 karina.eth로 검색과 송금이 가능하다.



 

이렇게 NFT를 구매하여 twitter같은 곳에서 아이디로 사용하면 사람들이 쉽게

이더리움으로 후원이 가능해진다.



이제 작동 로직을 살펴보자. 카리나가 karina.eth를 구매 후 시스템을 통해 0x9ae8에 등록했는데,

시스템에서는 어떻게 이더리움 주소를 찾을 수 있었던 것일까?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로직으로 도메인으로 주소를 찾을 수 있다.

처음에 karina.eth를 어느 컨트랙트에 물어보아야 하는지에 대해서 ENS 레지스트리에 쿼리를 하면, 레지스트리가 리졸버를 알려주고, 다시 사용자가 리졸버 컨트랙트에서 실제 이더리움 주소를 받아온다.



물론 ENS 레지스트리에는 관리자들이 존재하며, 멀티시그 방식으로 7명 중 4명이 승인하면 변경이 가능하다. 강력한 권한을 가지므로 “.eth” 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최상위 레벨 도메인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registry – resolver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리졸버를 잘 사용하면 단순히 주소뿐만 아니라 IPFS등 외부 컨텐츠도 ENS와 연결을 할 수가 있다. (물론 ipfs 주소와 어카운트 주소 둘 다 연결할 수도 있다.)

 

즉, Index.html 같은 웹사이트를 IPFS에 배포한 뒤, 리졸버에 IPFS 해시 레코드를 추가하면 해당 주소에 http://karina.eth 등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참고로 이러한 프로토콜은 온전히 메타마스크에서 지원하는 기능이므로, 웹 브라우저에 반드시 메타마스크가 설치가 되어있어야만 가능하다.

Read More
  • Share This:  
  •  Facebook
  •  Twitter
  •  Stumble
  •  Digg

2022년 9월 14일 수요일

대기업의 최신 NFT 투자 동향

 SecureKim     오후 11:00     투자, Blockchain, NFT     No comments   

 

대기업의 NFT 투자 동향을 살펴보자


ㆍ시몬스 침대 



Press Date : 22/9/13

Chain : ETH

Market : Upbit NFT

Designer : 영 아티스트 3인 

( 부원, 메이킴, 차인철 )

Quantity : 2종씩 6종






 ㆍ라인 넥스트의 DOSI 플랫폼



Press Date : 22/9/14

Chain : Line blockchain (COSMOS)

Market : DOSI

특징 : 구글, 네이버, 라인, 페이스북 등 SNS 계정으로 OAuth를 통해 쉽게 가입 할 수 있음. 

판매자 입장에서는 도시 월렛과 연동된 웹사이트를 구성하여 도시 스토어에 올릴 수 있고, 

구매자 입장에서 별도의 메타마스크 등 로컬 월렛 없이 SNS계정을 연결하여 지갑을 연동하고 쉽게 구매 할 수 있음.


특징은, 구매는 사이트에서 하지만 결제는 도시 월렛을 통해 이루어 지며, 이 때 신용카드, 네이버페이 등을 통해 간단하게 구매가 가능함.

특징 두번째. 7일 이내에 환불 요청이 가능함


ㆍ삼성전자 VS LG



Press : 22.09.13

삼성전자의 경우 일찍이 모바일에 월렛을 탑재한 이력이 있으며, TV에 NFT플랫폼 스마트 허브를 선보인바 있음.

LG는 최근 월렛인 Wallypto를 개발, NFT 예술 작품 거래 플랫폼인 LG 아트랩을 출시하였음.


ㆍ스타벅스


Press Date : 22/9/13

Chain : Polygon

Quantity : 게임이나 퀴즈에 참여 시 Journey Stamp NFT 를 받을 수 있음.

신용카드로 스탬프를 구매할 수 있고, 자체 마켓 플레이스(스타벅스 오디세이)에서 매매 가능.



ㆍ현대카드

NFT사업을 위해 콘크릿 이라는 상표를 출원함.

앞서 공연·음반 등 브랜딩 활동에 NFT를 접목한 시범 서비스를 선보임 

이후 지난 6월에는 '멋쟁이사자처럼'과 NFT 신사업 추진을 위한 조인트벤처(JV) '모던 라이언'을 설립하고 NFT 거래소 설립과 월렛 서비스 운영을 추진 중


ㆍ맥도날드, 포드

메타버스 및 NFT 상표 출원





Read More
  • Share This:  
  •  Facebook
  •  Twitter
  •  Stumble
  •  Digg
이전 게시물 홈

페이지

  • 홈
  • Hobby

Categories

  • AI
  • android
  • AWS
  • Blockchain
  • Hardware
  • Javascript
  • mysql
  • Node.js
  • Plasma
  • review
  • Security
  • Study
  • Video
  • windows

Popular Posts

  • 블랙보드 강의 녹화 영상 다운로드 가능한 방법 (노설치)
    별도의 설치도 필요 없고 아주 쉽습니다. 구글 크롬브라우저 에서 블랙보드 녹화 영상에  다운로드 가능한 메뉴가 나오게 하는 코드입니다.  먼저 블랙보드 강의자료에 입장하고, 재생 버튼을 클릭 하지 않은 상태로 F12 를 입력합니다. 재생을 클릭하지 마세요.
  • [Node.js] Redis 의 hmset
    Redis 의 hmset 사용하기 var redis = require('redis'); var client=redis.createClient(포트,호스트,null); /* * MySQL을 사용하다가 Redis를 사용해보니 신세...
  • 안드로이드 음성 소켓 통신 (2월 단기)
    안드로이드-음성을 패킷화 하여 P2P 소켓 통신. 처음엔 TCP로 구현했었는데 서버 과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P2P로 구현하겠노라 큰소리 쳤습니다. P2P는 홀펀칭이 필요하며 따라서 TCP로는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죠. 각 단말...

Blog Archive

  • ▼  2023 (1)
    • ▼  1월 (1)
      • [NFT 동향] 중국의 NFT 거래소와 미르의 전설2
  • ►  2022 (10)
    • ►  12월 (1)
    • ►  11월 (3)
    • ►  9월 (1)
    • ►  8월 (1)
    • ►  6월 (2)
    • ►  3월 (2)
  • ►  2021 (9)
    • ►  12월 (3)
    • ►  11월 (1)
    • ►  6월 (1)
    • ►  5월 (2)
    • ►  4월 (2)
  • ►  2020 (12)
    • ►  10월 (1)
    • ►  9월 (2)
    • ►  7월 (1)
    • ►  6월 (1)
    • ►  5월 (5)
    • ►  4월 (1)
    • ►  2월 (1)
  • ►  2019 (14)
    • ►  10월 (2)
    • ►  7월 (1)
    • ►  3월 (4)
    • ►  2월 (2)
    • ►  1월 (5)
  • ►  2018 (14)
    • ►  12월 (2)
    • ►  11월 (4)
    • ►  10월 (1)
    • ►  8월 (2)
    • ►  5월 (4)
    • ►  1월 (1)
  • ►  2017 (12)
    • ►  10월 (2)
    • ►  9월 (9)
    • ►  5월 (1)
  • ►  2016 (8)
    • ►  10월 (2)
    • ►  8월 (1)
    • ►  6월 (1)
    • ►  1월 (4)
  • ►  2015 (6)
    • ►  12월 (3)
    • ►  10월 (1)
    • ►  6월 (1)
    • ►  5월 (1)
  • ►  2014 (10)
    • ►  11월 (1)
    • ►  9월 (1)
    • ►  7월 (1)
    • ►  6월 (1)
    • ►  5월 (3)
    • ►  4월 (1)
    • ►  3월 (2)
  • ►  2013 (28)
    • ►  12월 (3)
    • ►  11월 (6)
    • ►  10월 (6)
    • ►  9월 (6)
    • ►  8월 (1)
    • ►  7월 (3)
    • ►  6월 (3)

구독

글
Atom
글
전체 댓글
Atom
전체 댓글

로드 중입니다...

각오

직접 해보지 않은 것은 포스팅 하지 않겠습니다.

Copyright © 김보안의 블로깅 | Powered by Blogger
Design by Hardeep Asrani | Blogger Theme by NewBloggerThemes.com | Distributed By Gooyaabi Templates